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gui
- JUCE라이브러리
- a tour of go
- go
- OS
- C++ gui 라이브러리
- 알고리즘
- 프로그래밍
- Docker
- 공룡책
- c++ heap
- Nebula
- 운영체제
- 자료구조
- tour of go
- 코딩
- LOB
- JUCE
- vim-go
- 백준
- JUCE 튜토리얼
- C언어
- 리듬게임
- C++ gui
- C++
- C++ library
- JUCE library
- BOJ
- 연결리스트
- go channel
- Today
- Total
목록Programming (154)
CafeM0ca
반년만에 문제 풀어본다. 몸풀기로 간단한거부터.. 문제에서 제시하는건 10000이하의 셀프넘버를 찾는거였다.모카는 처음에 생성자를 찾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셀프넘버가 d(n) > n 이 항상 성립하므로 1부터 9999까지(9999까지 돌 필요는 없다만..) 돌면서 d(n)이 되는것은 1로 두고 1이 아닌것은 셀프넘버로 봤다.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{ int arr[10001] = {0,0,}; int k; for(int i=1;i0;j*=10){ k += (i % (j*10)) / j; } if(k
//발번역 https://juce.com/doc/tutorial_component_parents_children 이번 튜토리얼에서는 Component 클래스의 계층적 특징을 설명하는것에 의해 하나의 컴포넌트가 하나 이상의 중첩된 자식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다. 압축 풀고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다. 모카는 컴파일 에러가 뜬다. 자료형이 일치하지 않다고 하는데 getLocalBounds() 함수가 Rectangle인데 어쩌냐.. 왜 이렇게 만든건지도 모르겠다. 컴포넌트 클래스의 계층대부분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몇개의 요소들로 이루는데 텍스트,버튼,슬라이더,메뉴같은 것들이다. 예를 들어 다음 스크린샷은 AudioDeviceSelectorComponent 클래스를 보여준다. 버튼과 몇개의 레이블과 메뉴(연속되는 박..
//발번역 https://juce.com/doc/tutorial_graphics_class 이번 튜토리얼에서는 그래픽 객체로 텍스트,선,기하학적 모양을 그리는 방법에 대해 알려준다. 당신은 이미 메인 컴포넌트가 나타내는게 paint() 함수 구현에 의해 정의되어있는걸 알고있다. 이 데모 프로젝트는 이전 튜토리얼이 끝난 곳에서 시작한다. paint() 함수의 처음 구현부분은 다음과 같다.void MainComponent::paint (Graphics& g){ g.fillAll (Colours::lightblue); g.setColour (Colours::darkblue); g.setFont (14.0f); g.drawText ("Hello, World!", getLocalBounds(), Justifica..
//발번역 https://juce.com/doc/tutorial_main_window//모카 환경: 우분투 16.04 압축풀고 build->LinuxMakefile디렉토리에서 make로 빌드하고 build디렉토리로 이동하고 실행파일을 실행시켜보면 댕그러니 회색창이 보인다. 근데 아마 헤더파일 오류가 뜨는 사람도 있을꺼다. Projucer를 실행하고 file-> open에서 압축푼 디렉토리에서 .jucer확장파일을 열어주자. 그리고 모든 Module의 use global path를 풀어주자. 경로 오류로 make가 안되는거다. Path for "Linux Makefile"이 있는데 자신의 JUCE의 module이 있는곳으로 설정해주면 된다.컨트롤+s눌러주시고 다시 make하면 잘 작동한다. (예예~~) M..
//필요한것만 발번역 https://juce.com/doc/tutorial_main_component //모카 환경 우분투 16.04콘텐츠 구성요소를 추가하는 방법을 배워보자. 자신의 창이 다른 그래픽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게 이 튜토리얼에서는 메인 콘텐츠 구성요소를 만들어내는것으로 어떻게 그래픽 콘텐츠를 어플리케이션 창에 추가하는지를 보여줄것이다. 컴포넌트 클래스모든 JUCE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 클래스는 Component 클래스다.(버튼,슬라이더,텍스트영역들이 컴포넌트)기억할것: JUCE의 모든 그래픽 요소들은 Component 클래스로부터 파생된다. GUI를 빌다히기위해 다른 컴포넌트들은 서로 다른 구성요소가 상위 및 하위 컴포넌트가 있는 중첩 계층 구조로 정렬된다.맨 위 컴포넌트..
환경: 우분투 16.04 JUCE를 make하려는데 오류가 뿜뿜터진다.. 이도저도 못하고;;영어 울렁증이 돋았지만 한줄한줄 읽어보니No package 'webkit2gtk-4.0' found 라 써있다. 현실도피하고 싶지만 개발할려면 꼭 필요하니.. (nana library에서 통수맞아서 더이상 물러설곳이 없다..) 열심히 구글링해서~ 찾았다.sudo add-apt-repository ppa:webkit-team/ppa sudo apt-get update sudo apt-get install libwebkit2gtk-4.0-37 libwebkit2gtk-4.0-dev순서대로 해주면 됀다~ 설치가 끝나면 다시 make하면 빌드 끝~make한곳에서 build디렉토리로 들어가보면 HelloWorld프로그램이 ..
server.c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#include#include#include#include#include#include#includeint main(){ printf("create server socket discripter \n"); int serv_socket = socket(AF_INET,SOCK_STREAM,0); if(serv_socket == -1){ printf("fail creating socker\n"); exit(1); } printf("create server structure\n"); struct sock..
www.boost.org 에서 최신버전을 다운받는다. 모카는 1.66.0버전+ 2018/4/2 https://www.boost.org/doc/libs/1_66_0/more/getting_started/unix-variants.html압축해제tar -xvf boost_1_66_0.tar.bz2 /usr/local로 옮기자.mv boost_1_66_0 /usr/local boost 디렉토리안에 bootstrap.sh파일을 실행한다$ ./bootstrap.sh --prefix=path/to/installation/prefixb2를 설치sudo ./b2 install 마무리./bjam link=static stage asio예제가 있는데(https://www.boost.org/doc/libs/1_66_0/doc..
형변환(cast)에는 2가지가 있다. 첫번째는 명시적 형변환. 두번째는 묵시적(암시적) 형변환.형변환을 하는 이유는 타입(자료형)에러가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. 구형 스타일 형변환123456int main(){ double x=5.5; int y=x; //묵시적 케스팅 y=5 char z=(char)y //명시적 케스팅 z= 아스키코드5 return 0;}Colored by Color Scriptercs C++ 스타일 형변환1234567891011121314151617#include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{ int x=10; double y=static_cast(x); char z=static_cast(y); const int cn=100; int *pcn=const_c..
싱글톤 패턴(singleton pattern) 생성자가 여러차례 호출되더라도 실제로 생성되는 객체는 하나다. 최초의 생성자가 생성된 이후, 생성자는 최초의 객체를 리턴한다. 더 자세한건 pdf로 확인바람!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class Singleton{ public: static Singleton* getInstance(){ if(mInstance == nullptr){ std::lock_guard guard(mtx); if(mInstance == nullptr){ mInstance = new Singleton(); } } return mInstance; } void add(){ data++; } int getData() const { ..